안녕하세요. 나만알고싶은경제 이지상입니다.
오늘 알려드릴 재테크정보는 적립식펀드입니다.
다들 은행또는 증권사에서 펀드 추천 받으셨던 경험이 있으신 분들이 있으실 겁니다.
하지만 나에게 투자경험은 하나도 없고,
펀드에 대해서 알아본적도없고,
펀드를 어떻게 하는지도 모르겠고,
펀드가 무섭기도하고,
펀드를 왜 해야하는지도 모르셨을겁니다.
사실 은행창구에서는 펀드를 권유하고 싶어서 하시는게 아니라
요즘 주력으로 판매하고있는 펀드 상품들이 있기때문에,
증권사나 은행창구에서 펀드를 추천하곤 하는겁니다.
그렇다면 우리가 펀드를 하기 위해서 알아야 할 것은
어떤것들이 있을까요?
자 일단 첫번째
펀드란 ?
만화에서 아이들이 펀드를 하여 빵을 사먹었어요.
사실 아이들은 빵을 먹기 위해 돈을모아서 빵이라는 음식을 구입했는데,
이처럼 특정한 곳에 2인이상이 모여 돈을모아 투자하는 행동을 펀드라고 할 수있어요.
위 그림에서 아이들은 배고픔을 해소하기위해 빵이라는 음식에 돈을 모아서 묶음빵을 살 수 있었는데요.
우리들이 흔히 알고있는 펀드는
"여러개의 투자를 동시에 해결하기위해
돈을 모으는 것"
이라고 얘기할 수 있어요.
그렇다면 펀드는 어떤 종류가 있을까요?
펀드의 종류
펀드의 종류는 크게 두가지로 나뉘게 되는데요
1. 공모펀드
공모펀드란 ?
50인 이상의 불특정 다수의 투자자를 대상으로 돈을 모아서 그 돈을 운영하는 펀드를 말해요.
대부분 개인투자자들을 대상으로 돈을 모집합니다.
2. 사모펀드
사모펀드란?
투자신탁업법에서는 100인 이하의 투자자를 대상으로 모집하는 펀드를 얘기하고,
대부분은 49인 이하의 투자자를 대상으로 모집하는데, 이는 증권투자회사법(뮤추얼펀드)을 따릅니다.
다른말로는 고수익기업투자펀드라고도 얘기한답니다.
그렇다면 펀드에 돈은 어떻게 넣나요?
바로 납입방식에 따라 종류가 다른데요.
첫번째는
적립식펀드입니다.
적립식펀드는 은행에서 적금이 있다면
증권사에서는 적립식펀드가 있다고 얘기할 수 있어요.
공모펀드에서는 보통 분야별로 투자하는 성향이 강한데요.
예를들면 "메리츠코리아증권투자신탁"이라는 펀드가 있습니다.
앞에 메리츠는 메리츠에 투자가 된다는 것이 아니라
메리츠 자산운용사를 말합니다.
그리고 코리아 라는 것은
'한국'주식에 투자 된다는 것을 이야기하고
증권투자신탁 이라는 것은 쉽게 펀드라는 것 입니다.
요약하면
메리츠 자산운용사에서
한국 기업에 투자되는
펀드
라고 얘기할 수 있어요.
이렇게 "한국기업"이라는 분야를 묶어 투자가 된답니다.
다른예시로는
"블랙록골드월드경제 이지상입니다.
오늘 알려드릴 재테크정보는 적립식펀드입니다.
다들 은행또는 증권사에서 펀드 추천 받으셨던 경험이 있으신 분들이 있으실 겁니다.
하지만 나에게 투자경험은 하나도 없고,
펀드에 대해서 알아본적도없고,
펀드를 어떻게 하는지도 모르겠고,
펀드가 무섭기도하고,
펀드를 왜 해야하는지도 모르셨을겁니다.
사실 은행창구에서는 펀드를 권유하고 싶어서 하시는게 아니라
요즘 주력으로 판매하고있는 펀드 상품들이 있기때문에,
증권사나 은행창구에서 펀드를 추천하곤 하는겁니다.
그렇다면 우리가 펀드를 하기 위해서 알아야 할 것은
어떤것들이 있을까요?
자 일단 첫번째
펀드란 ?

출처 : 네이버 검색후 "펀드" 지식백과
만화에서 아이들이 펀드를 하여 빵을 사먹었어요.
사실 아이들은 빵을 먹기 위해 돈을모아서 빵이라는 음식을 구입했는데,
이처럼 특정한 곳에 2인이상이 모여 돈을모아 투자하는 행동을 펀드라고 할 수있어요.
위 그림에서 아이들은 배고픔을 해소하기위해 빵이라는 음식에 돈을 모아서 묶음빵을 살 수 있었는데요.
우리들이 흔히 알고있는 펀드는
"여러개의 투자를 동시에 해결하기위해
돈을 모으는 것"
이라고 얘기할 수 있어요.
그렇다면 펀드는 어떤 종류가 있을까요?
펀드의 종류
펀드의 종류는 크게 두가지로 나뉘게 되는데요
1. 공모펀드
공모펀드란 ?
50인 이상의 불특정 다수의 투자자를 대상으로 돈을 모아서 그 돈을 운영하는 펀드를 말해요.
대부분 개인투자자들을 대상으로 돈을 모집합니다.
2. 사모펀드
사모펀드란?
투자신탁업법에서는 100인 이하의 투자자를 대상으로 모집하는 펀드를 얘기하고,
대부분은 49인 이하의 투자자를 대상으로 모집하는데, 이는 증권투자회사법(뮤추얼펀드)을 따릅니다.
다른말로는 고수익기업투자펀드라고도 얘기한답니다.
그다음으로 알려드릴 것은
펀드의 성향 입니다.
펀드에서는 보통 분야별로 투자하는 성향이 강한데요.
예를들면 "메리츠코리아증권투자신탁"이라는 펀드가 있습니다.
앞에 메리츠는 메리츠에 투자가 된다는 것이 아니라
메리츠 자산운용사를 말합니다.
그리고 코리아 라는 것은
'한국'기업에 투자 된다는 것을 이야기하고
증권투자신탁 이라는 것은 쉽게 펀드라는 것 입니다.
요약하면
메리츠 자산운용사에서
한국 기업에 투자되는
펀드
라고 얘기할 수 있어요.
이렇게 "한국기업"이라는 분야를 묶어 투자가 된답니다.
다른예시로는
"블랙록골드월드증권자투자신탁"
이라는 펀드가 있습니다.
여기서는
블랙록 이라는 자산운용사에서
골드월드는 금에 투자가 되는
증권자?
증권은 뭐고 증권자는 뭘까요?
증권자는 모자형펀드를 구분짓는 말인데요.
증권이라고 쓰여있으면 모펀드이고
증권자라고 쓰여있으면 자펀드에요.
모펀드와 자펀드에 대해서는 다음시간에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그리고 투자신탁=펀드를 이야기합니다.
그렇다면 펀드에 돈은 어떻게 넣나요?
바로 납입방식에 따라 종류가 다른데요.
첫번째는
적립식펀드입니다.
적립식펀드는 은행에서 적금이 있다면
증권사에서는 적립식펀드가 있다고 얘기할 수 있어요.
적립식 펀드에서는 내가 월마다 살 수 있는 주식이 많지 않다보니
앞서 말씀드린 펀드의 성향을 이용해서,
내가 기업에 투자하는 것이 아닌 분야에다
적립식으로 돈을 저금하는 겁니다.
위의 예시를 따르면, 한국기업이라는 분야에 한번에 많은 주식을 가지고싶을때는
한국 주식형 펀드에 적립식 펀드를 들어가면
매 월마다 한국기업의 주식을 구입하는 것과 같습니다.
매 월마다 사지기 때문에
환매하실때에 리스크가 그렇게 큰 편은 아닙니다.
보유 좌의 매입단가가 평균이 되어버리기때문에,
리스크를 완화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죠.
쌀때는 많이사지고,
비쌀때는 적게사지는
투자 초보자들에게는 아주 효율적인 투자방법입니다.
두번째는 거치식방법인데요.
은행의 예금이 있다면
증권사에는 거치식 펀드가 있다고 말할 수 있어요.
한번에 목돈을 넣어놓고, 적당한 기간을 기다렸다가
예상수익률(이자)가 되었을때 환매를 하게되면
예금보다는 높은 이자를 받을 기회가 생기는데요.
국내주식형으로 평균적으로 보면 연10%이상 됩니다.
아무래도 기업에 투자가 되다보니
물가상승률도 함께 반영이 된다고 할 수 있죠.
은행의 예금에서는 물가상승률은 커녕
화폐가치하락도 막지못하는 판국에
펀드는 물가상승률이 어느정도 반영된다고 할 수 있어서
펀드는 투자 초보들에게 아주 적합한 상품이라고 생각이 됩니다.
때문에
리스크적으로 본다면 적립식펀드가 리스크가 적고
목돈을 운용하는 거치식펀드는 리스크가 큰 대신에
우상향 그래프일때, 수익률이 적립식보다 많이 나올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펀드는
어떤 펀드를 고르는 것이 좋을까요?
펀드는 펀드 자체만으로
간접투자이며 분산투자효과를 누릴 수 있는데요.
그렇다면 펀드 자체만으로도 주식보다 리스크가 없다고 애기할 수 있겠네요.
그럼과 동시에 펀드를 하나만 가입하는 것이 아니라
여러개의 펀드를 동시에 가입하는 것이 리스크가 적다는 것!
예를들어
나에게 100만원이 있다면
10만원으로 10개월의 적립식 펀드를 할 수 있겠죠?
그런데 10만원으로 펀드 1개만 들어가자니
펀드의 수익률이 낮으면 10개월뒤에 빼기도 그렇고...
그렇다보니
10만원도 쪼개서
2만5천원씩 4개의 펀드
총 10만원으로 4개의 펀드를 운용함으로써
새로운 포트폴리오를 구성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4개의 종목중 하나의 종목이 성과가 나쁘더라도
나머지 3개의 펀드성과가 좋다면
성공적인 포트폴리오를 구성했다고 얘기할 수 있겠습니다.
'나만 알고싶은 경제 > 재테크&경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약담보대출의 조건은 어떻게 되나요? (예금/적금/청약 담보대출) (0) | 2020.09.03 |
---|---|
소득공제 장기펀드는 뭘까요? / (0) | 2020.09.02 |
개인연금저축 소등공제 / 연말정산 (0) | 2020.08.25 |
세액공제는 뭐지? / 연말정산 (0) | 2020.08.22 |
소득공제 항목이뭔데?(1편)+ 이자 소득세가 뭐야? / 연말정산 (0) | 2020.08.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