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나만알고싶은경제 이지상입니다.
질문
현재 회차별 2만원씩 청약저축 12회 진행중입니다.
이미 부모님께서 따로 납부하고 있는 적금이 있습니다. 적금 만기가 되면 모인 돈을 청약저축으로 부을 생각입니다.
최소 500만원에서 최대 1000만원까지 청약저축에 일시불로 넣을 생각입니다.
1. 2년 후 정도에 적금이 만기 되어 돈을 넘길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이때, 회차별로 10만원을 납부하는 것에 비해 손해인가요?
2. 공공주택의 분양은 민간주택과 다르다고 하는데 1번 질문에 대해 어떤 점이 다른지 알려주세요
3. 제가 청약통장에 결과적으로 1000만원을 넣는다 가정할 때,
매달 2만원씩 납부하는 것 + 일시불로 채우는 것과 매달 10만원+a로 하여 1000만원을 채우는 것 중 더 유리한 조건이 있는 건가요?
더 유리하다면 지금부터라도 증액하여 납부하려고 합니다 도와주세요ㅠㅠ
예금, 적금 분야 Q&A : 네이버 지식iN
예금, 적금의 질문 목록을 볼 수 있습니다.
kin.naver.com
답변
아 이거 아무나 안알려드리는 1급비밀인데
일단 답변드리자면
국민주택에 40제곱미터 이하는 납입회수 가 중요하고
40제곱미터 이상은 총 납입금액이 많이야 좋은데,
납입 인정액은 2만원~10만원 이고, 납입가능금액은 2만원~50만원인데,
월 50만원씩 납입하더라도, 월 인정납입금액이 10만원입니다. 그러니깐 통장에 50들어가고 인정은 10만원만 되고,
그 인정되는 10만원씩이 차곡차곡 쌓여서 국민주택 40제곱미터 이상 청약하실때 유리하는 거죠
그리고, 민영주택은 가점제랑 추첨제로 나눠져있는데,
추첨제는 로또고 가점제는 점수제로, 점수쌓이는걸 중요하게 봅니다. 평균 65점정도 되는걸로아는데
일단 제일 현명한건 뭘 알고 청약 플랜을 짜는건데, 앞으로 국민주택에 살지, 민영주택에 살지,
민영주택에살면 가점제하면서 추첨제 동시에 진행하시는게 유리하고, 국민주택으로하면 40제곱미터 이상에살지 40제곱미터 이하에 살지 정하시고,
40제곱미터 이하에 사실거면 2만원씩 40제곱미터 이상에 사실거면 10만원씩하시고,
만약에 40제곱미터 이하일때 2만원씩 하시고 , 남은 8만원은 다른 재테크 하시는데 사용하시는게 훨씬 좋고,
민영주택으로 할때는 1순위조건과, 청약넣으실 지구(지역)조건을 잘 살펴보셔야 하는거죠 뭐
별거없어여뭐 그냥 하면되는거라 쉬워요
'경제 지식인활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하나은행 도전 365 적금 질문 (0) | 2020.09.05 |
---|---|
신한은행 주택청약을 7월달부터 10만 (0) | 2020.09.01 |
예금자 보호법 (0) | 2020.09.01 |
적금만기이자계산좀해주세요 (0) | 2020.09.01 |
신용등급회복은 어떻게 해야할까요? (0) | 2020.09.01 |